존스홉킨스 의대, 32만명 장기 분석 “흡연량 줄이기보다 금연이 핵심”
하루 흡연량이 2~5개비로 적더라도 비흡연자보다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60%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심혈관질환 위험 역시 비흡연자 대비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마이클 블라하 교수 연구팀은 학술지 플로스 메디신(PLOS Medicine)에 22개 장기 코호트 연구, 총 32만3826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기간은 최대 19.9년으로, 연구팀은 흡연량·금연 기간과 심혈관질환 및 사망 간의 연관성을 평가했다.
분석 결과 현재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심혈관질환 위험이 남성 74%, 여성 104% 더 높았다.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도 남성은 117%, 여성은 143% 증가했다.
흡연량별로는 하루 2~5개비를 피우는 경우 모든 원인 사망 위험이 60%, 심혈관질환 사망 위험이 57% 높았다.
이들은 심방세동 위험 26%, 심부전 위험 57% 등 주요 심혈관질환 위험 역시 상승했다.
하루 11~20개비를 피우는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사망 위험이 130% 증가했다.
또 금연 효과는 금연 후 첫 10년에 가장 크게 나타났고, 위험 감소는 이후 20년 이상 지속됐다.
금연 20년이 지나면 현재 흡연자보다 사망 위험이 80% 이상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아주 적은 양의 흡연이라도 심혈관질환과 사망 위험을 크게 높인다”며 “흡연량을 줄이는 것보다 더 젊은 나이에 완전히 끊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