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애틀랜타 뉴스 미국 정보 Atlanta K

“근육 많고 복부지방 적을수록 뇌 노화 늦어져”

워싱턴대 연구팀 “내장지방은 뇌 노화와 연관… 피하지방은 무관”

근육량이 많고 복부 내장지방이 적을수록 뇌 노화 속도가 느려진다는 미국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반면 피하지방은 뇌 노화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대 의대 사이러스 라지 박사 연구팀은 전신 MRI 영상을 통해 건강한 성인 1100여명의 근육량, 지방량, 뇌 조직을 측정하고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한 결과를 11월 25일 공개했다. 분석은 총근육량, 내장지방, 피하지방과 MRI 기반 ‘뇌 나이’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연구 참여자는 4개 지역 거주자 1164명으로 평균 나이는 55.17세였다. 연구팀은 전신 MRI 영상에 지방·근육·체액 등을 구분하는 기법을 결합해 각 조직을 정량화했다.

결과에 따르면 총근육량이 많을수록 실제 나이와 MRI로 계산한 뇌 나이가 모두 더 젊게 나타났다. 총근육량과 실제 나이의 상관계수는 -0.2579, 뇌 나이와의 상관계수는 -0.249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내장지방 대비 근육량 비율은 더 큰 차이를 보였다. 해당 비율과 실제 나이의 상관계수는 0.3755, 뇌 나이와는 0.3797로 중등도 연관성을 나타냈다. 이는 내장지방이 많을수록 실제 나이가 더 많고 뇌도 더 빨리 늙는다는 뜻이다.

반면 피부 바로 아래 위치한 피하지방은 뇌 노화와 유의미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라지 박사는 “근육량이 많고 숨겨진 복부지방이 적은 사람일수록 더 젊은 뇌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며 “이는 알츠하이머병 등 향후 뇌 질환 위험을 낮추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11월 30일부터 12월 4일까지 시카고에서 열리는 북미영상의학회(RSNA 2025) 연례 학술대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뇌 나이 추정을 위한 뇌 MRI 영상 /Cyrus Raji, M.D., Ph.D., and RSNA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