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 단속에 히스패닉 대상 한인 비즈니스 비상

트럼프 강공에 미국경제 ‘직격탄’…라틴계 소비 위축·인력 공백 현실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 이민자 단속을 대폭 강화하면서, 미국 경제 전반에 타격이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라틴계 소비자들의 소비 위축과 제조·외식·건설업 분야에서의 저임금 노동력 이탈이 미 실물경제에 직접적인 충격을 주고 있다.

12일 뉴욕타임스와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연방 이민세관단속국(ICE)은 하루 불법 이민자 체포 목표를 1000명에서 3000명으로 상향했으며, 단속은 식당·공장·건설현장 등 전방위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민자 노동자들이 출근을 포기하거나 은신하면서 현장 인력난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민법 전문가 섀넌 스티븐슨은 “기업들로부터 매일 수십 통의 문의 전화가 온다”며 “일부 기업은 숙련 인력 부족으로 운영 중단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는 직원 신분 확인, 영장 대응 지침 등 자체 매뉴얼을 마련해 대응에 나섰다.

이민자 의존도가 높은 소비재 업계도 매출 감소 조짐이 뚜렷하다. 코카콜라는 북미 매출 3% 감소 요인으로 라틴계 소비자의 구매 감소를 지목했으며, JD스포츠 CEO는 “매장 방문객 급감으로 이민정책의 여파를 체감한다”고 밝혔다. 패스트푸드, 주류 업계도 유사한 타격을 입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민자 유입 둔화가 미국의 장기 성장률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노무라증권의 데이비드 세이프 이코노미스트는 “이민자 감소는 노동시장 위축과 경기 둔화를 초래하고, 이는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에도 부담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LA에 군 병력을 배치한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가 연방법원에서 위법 판단을 받은 가운데, 행정부는 항소 방침을 밝히며 단속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북부 연방법원은 “대통령은 주방위군 통제권을 즉시 주지사에게 반환해야 한다”고 결정했으며, 행정명령의 효력은 13일 오후 3시부터 발효된다.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은 “국토안보부와 군 병력은 임무를 지속하고 단속 작전을 확대할 것”이라며 LA 지역 주둔 유지 방침을 재확인했다.

크리스티 노엄 미국 사우스다코타 주지사 [A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