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측 “극히 일부 유학생 영향…상황 파악중”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국제 학생 비자 취소를 대대적으로 단행하면서 조지아 대학가에도 비상이 걸렸다.
최근 조지아대학교(UGA)의 일부 유학생 비자가 실제로 취소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조지아 전역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불안감에 휩싸였다.
9일 대학 대변인 그레고리 트레버는 “극히 일부 유학생이 영향을 받았다”며 구체적인 숫자나 사유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 대학 측은 “상황 파악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UGA의 한 교수는 지난 6일 자신의 대학원생이 비자 취소 통보를 받았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고 AJC에 전했다. 해당 학생은 평소 시위에 참여한 적이 없고, 성실한 학업 태도로 주목받던 인물이었다. 교수는 “학생이 언제 구금될지 몰라 캠퍼스 밖에서 만나기로 했다”며 “이건 더 이상 과민 반응이 아니다. 지금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라고 토로했다.
조지아텍 무슬림학생회(MSA)의 회장 르네 알누바니는 “공공연히 의견을 표명하면 표적이 된다”며 “국제 학생들을 겨냥한 전례 없는 탄압이 벌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국제 학생들은 인터뷰 요청도 거부하거나 익명 조건을 요구하는 등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조지아텍의 한 박사후연구원(postdoc)은 “과거엔 시위에 참여하는 게 위험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며 “하지만 요즘은 ‘여권 압류’가 우려돼 아예 정치적인 행사 자체를 피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비자 취소 사태는 연방정부가 더 이상 대학 측과 협의 없이 국제 학생의 체류 기록을 삭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 충격을 주고 있다. 이는 기존 관행과 달리, 대학이 학생 비자 상태 변동을 사전에 알지 못하게 해 학생과 대학 모두를 무방비 상태로 두고 있다.
에모리대학교, 조지아주립대(GSU), 조지아텍 등은 모두 비자 취소 여부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은 밝히지 않고 있으며, “상황을 주시하고 있으며, 법적으로 가능한 모든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는 원론적인 입장만 내놨다.
한편, 조지아에는 총 2만8000명 이상의 유학생이 등록해 있으며, 이들은 연구, 창업, 경제에 큰 기여를 해왔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단순히 일시적인 정책 변화가 아니라 미국 고등교육의 신뢰도에 장기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일부 유학생은 이미 유럽이나 캐나다로의 진로 변경을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