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화합물, 슈퍼 박테리아 퇴치 가능”

슈퍼 박테리아
슈퍼 박테리아 [연합뉴스TV 제공]

금화합물(gold compound)이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다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multidrug-resistant superbugs)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페인 바르셀로나 세계 보건 연구소의 사라 곤살레스 교수 연구팀이 19가지 금화합물을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을 비롯한 6종류의 다제 내성 슈퍼박테리아에 투여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UPI 통신이 10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19가지 금화합물을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 표피 포도상 구균, 녹농균,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 아시세토박터 바우마니, 폐렴균 등 6종류의 다제 내성 슈퍼박테리아에 투여했다.

이밖에 다른 다제 내성 슈퍼 박테리아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험에 사용된 금화합물은 단순한 금(III) 복합체로 제조 비용도 별로 들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금 복합체는 변형이 손쉬워 얼마든지 약물로 개발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그렇지 않아도 금은 항박테리아 성질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 핵심에 금 이온 성분이 함유된 금속 착제 항생제(metalloantibiotics)를 만드는 것이 다제 내성 슈퍼 박테리아를 퇴치하는 가장 유망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전망했다.

금 복합물은 효소의 기능을 차단하기 때문에 박테리아의 세포막 기능을 방해하고 DNA를 손상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15일 개막되는 유럽 임상 미생물학·감염질환 회의(European Congress of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us Diseases)에서 발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