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전망도 ‘안정적’…정치적 불확실성에는 경고 메시지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로 유지했다. 향후 등급 전망도 ‘안정적(stable)’으로 평가되면서, 단기간 내 등급 하향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진단됐다.
18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 보도에 따르면, S&P는 미국의 장기 국가 신용등급을 AA+, 단기 등급은 **A-1+**로 각각 유지한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의 경제 회복력과 통화 정책의 신뢰성, 그리고 일정 수준의 재정 건전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평가로 풀이된다.
S&P는 성명에서 “최근 재정 법안들로 인해 세출 증가가 우려되지만, 관세 수입을 포함한 수익 증가가 이를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재정 적자가 의미 있게 개선될 가능성은 낮지만, 단기간에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도 작다”며 ‘안정적’ 전망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와 함께 S&P는 미국 의회의 부채한도 증액(5조달러) 합의, 그리고 연준의 독립성과 정책 일관성도 등급 유지의 주요 요소로 꼽았다.
다만, S&P는 향후 정치적 불안정성이 커질 경우 등급이 하향 조정될 수 있다는 경고도 함께 덧붙였다. 특히 “정치적 무능력으로 인해 지출 증가를 억제하지 못하거나, 세법 개정에 따른 세수 관리 실패가 발생할 경우, 2~3년 이내 등급이 하향 조정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정치적 행위가 미국 정부 기관의 신뢰성과 연준의 독립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경우, 신용등급 전반이 압박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S&P의 긍정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시장 일각에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오히려 기업 신뢰도와 고용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상존한다. 물가 상승(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 가능성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미국은 지난해 피치(Fitch)로부터 AAA 등급에서 한 단계 강등된 바 있으며, 이번 S&P의 평가는 신용등급 안정성 유지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