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27% 최다, 세종 11% 최저…65세 이상 인구 ‘1천만명’ 돌파
대한민국의 주민등록 인구 중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사상 처음 20%를 넘어섰다. 이로써 유엔(UN)이 정한 ‘초고령 사회’ 기준에 공식 진입하면서 고령화 대응을 위한 근본적·체계적 대책 마련이 시급해졌다.
◇ 65세 이상 인구 ‘1천만명’ 돌파…16년 만에 2배로
24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날(23일) 기준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는 1024만4550명으로, 전체 주민등록 인구(5122만1286명)의 20.00%를 차지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한국은 이번에 처음으로 20%를 넘어서면서 명실상부한 초고령 사회에 접어들게 됐다.
65세 이상 인구는 2008년 494만여 명에서 이번에 1천만 명을 넘어서며 16년 만에 2배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비율 역시 2008년 10.02%에서 꾸준히 상승해 2017년 14.02%, 2019년 15%대를 돌파했고, 올해 1월 19.05%에 이어 이번에 마침내 20%를 넘어섰다.
◇ 지방이 더 빠른 고령화…전남 27% 최고, 세종 11% 최저
성별로 보면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 비중은 남자 17.83%, 여자 22.15%로, 여성이 남성보다 약 4.32%p 높았다.
권역별로는 비수도권(22.38%)이 수도권(17.70%)보다 4.68%p 높아 지방에서 고령화가 더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27.18%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경북(26.00%)·강원(25.33%)·전북(25.23%)·부산(23.87%)·충남(22.23%) 순이었다. 서울은 19.41%로 전국 17개 시도 중 10번째, 세종이 11.57%로 가장 낮았다.
◇ “인구 전담 부처 시급”…고령사회 정책 강화 예고
김민재 행안부 차관보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어선 만큼, 인구 전담 부처 설치를 통해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급격한 고령화로 연금·의료·복지 등 사회 전반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는 노인복지 강화 및 지방 소멸 위기를 막기 위한 종합대책 마련에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