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애틀랜타 뉴스 미국 정보 Atlanta K

해리 왕자 ‘돈벌이’에 혈안?…도 넘었다

아프간전서 25명 사살 공개…”체스판에서 말 없애는 것 같았다” 자랑

TV 인터뷰에선 “나는 그들에게 꼽사리였을 뿐”… 또 왕실가족 비난해

해리 왕자 ITV 인터뷰[AP=연합뉴스 자료사진]

 

영국 해리 왕자가 아프간전에서 25명을 사살했다고 밝힌 것을 두고 참전 군인들이 강도 높게 비난하는 등 거센 역풍이 불고 있다.

설상가상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탈레반은 전쟁범죄를 인정한 해리 왕자를 국제법정에 보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해리 왕자는 자서전 ‘스페어’에서 아프간전에 참전해 아파치 헬기를 몰면서 25명을 사살했다고 공개했다.

이를 두고 2003년 아프간 사령관을 지낸 리처드 켐프 전 대령은 6일(현지시간) BBC 인터뷰에서 “해리 왕자가 판단을 잘못한 것 같다”고 평가했다.

그는 탈레반이나 추종 세력의 보복심을 새삼 자극해서 해리 왕자의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켐프 전 대령은 또 군이 탈레반 전사를 인간 이하 존재나 쓰러뜨릴 체스 말로 봤다는 식으로 표현한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영국군은 그렇게 훈련하지 않는다”며 사실이 아닌 그런 발언은 오해를 일으키는 한편, 적들의 선전에 이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해리 왕자는 자발적으로 아프간전에 참전해 훌륭한 평판을 얻었지만 이번 폭로로 인해 어느 정도 명성이 훼손됐다고 덧붙였다.

팀 콜린스 전 대령은 국방전문매체인 ‘포시즈 뉴스’ 인터뷰에서 “해리 왕자가 친가족을 버린 뒤에 자신을 품었던 다른 가족인 군에 등을 돌렸다”고 비난했다.

콜린스 전 대령은 “우리는 총 개머리판에 숫자를 기록하지 않는다”며 “우리는 아프가니스탄 합법 정부와 국민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간 것이지 사람을 죽이러 간 것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라크전 참전 때 “해방하러 가는 것이지 정복하려는 게 아니다”라는 연설로 유명하다.

그는 해리 왕자가 필요하지도 않은 부를 추구하면서 돈벌이 사기에 가담했다며 높은 수위의 비난을 퍼부었다.

미국 주재 영국 대사를 지낸 킴 대럭 전 국가안보보좌관은 스카이뉴스 인터뷰에서 자신이라면 아프간전 경험에 관해 그렇게 상세하게 적으라고 권하진 않았을 것이라고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이라크전에 참전한 보수당 애덤 할러웨이 의원은 스펙테이터지 기고문에서 군인이 몇 명을 사살했는지 공개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하고, 이는 품격과 생명 존중에 관한 문제라고 말했다.

리시 수낵 총리는 해리 왕자의 발언이 적절한지는 언급을 거부하고 “우리 군에 매우 감사한다”고만 말했다.

국방부 대변인은 해리 왕자의 발언에 관한 언론 질의에 “작전 세부 사항에 관해서는 안보 이유로 인해 언급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탈레반은 범죄를 ‘자랑스럽게’ 고백한 해리 왕자를 국제법정에 회부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텔레그래프지가 보도했다.

탈레반 정권 경찰 대변인 칼리드 자드란은 성명에서 “해리 왕자를 늘 기억할 것”이라며 “아프간인들은 무고한 국민을 죽인 것을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런 범죄는 언젠가 국제법정에 회부될 것이며 해리 왕자와 같이 범죄를 자랑스럽게 자백한 범죄자는 국제사회가 보는 가운데 법정에 서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해리 왕자가 탈레반 사살은 체스 말을 치우는 것 같았고 자랑스럽지도, 부끄럽지도 않다고 표현한 것을 두고 잔인하고 야만적이라고 질타했다.

한편 해리 왕자는 8일 보도된 영국 방송 ITV 인터뷰에서 형인 윌리엄 왕세자 부부 등 왕실 가족과의 관계를 언급하면서 ‘나는 꼽사리(third wheel)에 불과했다’는 등의 정제되지 않은 표현까지 써가며 격한 심경을 토로했다.

이번 인터뷰는 해리왕자 자서전 ‘스페어(Spare·예비용)’ 출간과 맞물려 이뤄진 것 중 하나다.

그는 이날 인터뷰에서도 형과 형수를 포함한 왕실과의 관계를 주된 화두로 삼았다.

해리 왕자는 메건 마클과 결혼하면서 형인 윌리엄 왕세자 부부와 잘 지낼 수 있기를 희망했으나, 윌리엄 부부가 메건을 환영하는 데엔 고정관념에 따른 ‘장벽’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메건은 미국 출신 흑인계 혼혈 배우로, 한차례 이혼 후 해리왕자와 연애를 거쳐 결혼했다.

해리 왕자는 “우리가 네 명이 돼서 형과 나의 관계가 더 가까워지고, 함께 나가 일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내가 그들에게 꼽사리로서 많이 했던 일”이라며 “때로 즐겁기도 했지만 때로 조금은 이상한 일이기도 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그들은 내가 메건 같이 매우 성공적인 경력을 쌓은 누군가와 사귀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해리 왕자는 메건과 결혼하면서 왕실에서 독립을 선언한 뒤 왕실과 불편한 관계를 이어가고 있는 점을 의식한 듯한 발언도 내놨다.

그는 “그들은 화해할 의지가 전혀 없어 보인다”면서 “침묵하는 것은 가해자가 계속 학대하도록 허용할 뿐”이라고 말했다.

특히 앞서 불화의 씨앗이 된 메건의 ‘인종차별 피해’ 주장과 관련해서는 “그런 취지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메건이 미국 방송인 오프라 윈프리와 인터뷰에서 “아들 아치의 피부색이 얼마나 어두울지를 놓고 근심하는 대화가 있었다”고 말해 왕실에서 인종차별을 당했다는 주장으로 해석됐다.

하지만 이날 해리 왕자는 당시 메건의 발언이 가족들에게 인종차별을 당했다는 뜻인지 묻자 “아니다. 영국 언론이 그렇게 말한 것”이라며 “메건이 언제 ‘그들이 인종차별주의자’라고 말한 적이 있나”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왕실 일부와 대중지를 겨냥해 “악마와의 동침”을 선택한 이들이 있다고도 독설을 날렸다.

영국 커밀라 왕비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와 함께 해리 왕자는 미국 방송 CBS와의 인터뷰에선 아버지 찰스 3세와 커밀라 왕비의 과거 불륜에 대해 언급하면서 커밀라를 ‘부모의 결혼생활에 있던 세번째 사람'(She was the third person in their marriage)이라고 언급하며 반감을 드러냈다.

이는 생모 다이애나비가 1995년 영국 공영방송 BBC와 인터뷰에서 당시 찰스 왕세자의 불륜을 처음 폭로하면서 커밀라를 지칭한 표현이다.

그러면서 해리 왕자는 “커밀라는 악당(villain)과 같았고 이 때문에 이미지를 쇄신해야 했다. 이를 위해 그녀는 언론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는데, 언론과 연결되면서 위험해졌다”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해리 왕자는 앞서 자서전에서 커밀라 왕비가 과거 윌리엄 왕세자와의 대화를 언론에 흘렸다고 비난한 바 있다.

해리 왕자는 다이애나비가 사망한 후 수년이 지나서도 어머니가 사실은 살아 있을 것이라고 여겼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