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애틀랜타 뉴스 미국 정보 Atlanta K

‘종이비행기’가 러시아 전투기 5대 파괴

골판지 드론 쿠르스크 군 공항 급습…대공 미사일 포대 여럿 손상

호주, 우크라에 매달 골판지 드론 100대 제공…”사실상 스텔스기”

호주 SYPAQ가 개발한 골판지 무인기의 조립 전후 모습 [호주 SYPAQ 홈페이지]

러시아 내 군비행장을 급습해 전투기 여러 대를 파괴하는 등 상당한 피해를 준 우크라이나군 무인기(드론)가 골판지로 만든 ‘종이비행기’였다는 보도가 나왔다.

30일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와 미 경제지 비즈니스 인사이더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보안국(SBU)은 지난 주말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의 군비행장을 공격해 미그-29 전투기 한 대와 수호이(Su)-30 전투기 네 대를 파괴했다고 밝혔다.

러시아군 야전 방공 체계인 판치르 미사일 발사대 두 개와 S-300 지대공 미사일 포대에 포함된 레이더도 손상을 입었다고 한다.

호주 기업 SYPAQ가 개발한 ‘코르보 정밀 페이로드 전달 체계'(PPDS)란 이름의 날개너비 2m의 이 드론은 3㎏ 상당의 폭발물이나 물자 등을 싣고 시속 60㎞로 비행할 수 있다.

작전반경은 약 120㎞이며 보급, 정찰, 공격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SBU는 이번 공격에 모두 16대의 무인기가 사용됐으며, 이중 3대만이 러시아군에 의해 격추됐다고 밝혔다.

호주 SYPAQ가 개발한 골판지 드론의 발사 장면 [호주 SYPAQ 홈페이지]

텔레그래프는 30일 새벽 우크라이나군이 프스코프를 비롯한 러시아 본토 6개 지역을 대상으로 감행한 개전후 최대 규모 드론 공습에도 이 ‘골판지 드론’이 일부 사용됐을 수 있다고 관측했다.

SYPAQ 홈페이지에 따르면 호주 정부는 올해 3월부터 매달 100대씩 총 2천만 달러(약 260억원) 상당의 골판지 드론을 우크라이나에 제공하기로 한 상황이다.

골판지 드론은 네모난 상자 형태로 운반된 뒤 즉석에서 조립돼 사용되며, 난이도는 조립식 가구 수준에 불과하다고 SYPAQ는 설명했다.

텔레그래프는 최근들어 우크라이나 드론에 러시아군 방공망이 뚫리는 경우가 잦아진 데는 골판지 드론의 등장도 일부 원인이 됐을 수 있다고 추측했다.

레이더는 전자파를 주사한 뒤 대상에 부딪혀 돌아오는 반사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주변을 탐지한다.

그런데 골판지나 접이식 발포수지 등으로 만들어진 이런 류의 드론은 금속 만큼 전자파가 잘 반사되지 않는 까닭에 현존하는 방공 레이더 대다수가 잡아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텔레그래프는 “군사계 일각에선 이단 취급을 받을지 모르지만, 이런 논리에 따르면 현재 러시아에 큰 피해를 입히고 있는 골판지 드론은 세계 스텔스기의 계보에 가장 최근 이름을 올린 항공기로 간주돼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