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고율 관세 대응 위해 조지아-앨라배마 거점 더 중요해질 듯
현대차·기아가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 중 하나인 미국에서 생산 차종과 물량을 대폭 늘리며, 본격적인 ‘글로벌 생산 체제 조정’에 돌입했다.
일각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고율 관세 정책이 예상되는 가운데, 이에 대응해 현지 생산 비중을 확대하는 ‘트럼프 시프트’가 본격화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올해부터 미국 앨라배마에 위치한 현대차 공장, 조지아의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기아 조지아 공장 등을 중심으로 하이브리드(HEV)와 전기차(EV) 등 친환경차 라인을 대폭 확충할 방침이다.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의 경우 투싼, 픽업트럭 싼타크루즈, 싼타페 & 싼타페 HEV, 제네시스 GV70 & GV70 EV 등 혼류 생산을 하고, 기아 조지아 공장은 스포티지, 쏘렌토, 텔루라이드, 대형 전기차 EV9 등을 생산하고 있다.
새로 가동된 조지아 현대차 메타플랜트는 아이오닉5를 생산하고 있으며 향후 아이오닉9 등 전기차 라인을 확대하게 된다. 이처럼 현지 공장에서 생산되는 SUV와 하이브리드, 전기차 라인이 늘어나면서 미국 시장 판매 수요에 적시 대응이 가능해지고, 전체 미국 생산 물량 역시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아는 조지아 공장에서 생산 중인 쏘렌토 등 인기 SUV에 하이브리드 라인을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국내 화성공장에서 생산해 수출하던 전기차 EV6 또한 조지아 공장 생산으로 전환, 미국 내 성장 수요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현대차의 경우 2024년 10월 가동을 시작한 메타플랜트의 연간 생산능력(CAPA)이 현재 30만 대 수준이나, 호세 무뇨스 글로벌 CEO가 “생산량을 50만 대로 늘리겠다”는 포부를 밝히면서 현지 생산이 더욱 공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아이오닉9, 하이브리드 SUV, 제네시스 브랜드의 신차 등 향후 출시될 모델들이 메타플랜트에서 생산되면서 전기·하이브리드 물량 증대가 기대된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자동차 수입에 10~20%의 보편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현대차·기아는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차량 중 약 절반 정도를 국내 공장에서 수출해 오고 있다.
현지 생산 확대는 보편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관세 부담을 줄이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이를 가리켜 ‘트럼프 시프트’, 즉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맞춘 현지 생산 비중 강화 전략으로 해석하고 있다.
현대차·기아 측은 “미국 판매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자연스럽게 미국 내 생산도 늘어나는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SUV·HEV·EV 중심의 라인업 확충은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는 환경 규제와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도 풀이된다.
특히 미국 현지에서 대형 전기차·하이브리드차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만큼, 현대차·기아의 미국 공장 생산 물량 증대가 향후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