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 ‘솔라 허브’ 조성 사업 탄력 받아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사업 부문인 한화큐셀이 미국 연방정부로부터 거액의 대출 지원을 확보했다. 이에 따라 조지아주에 조성 중인 대규모 태양광 생산단지(솔라 허브) 건설에 더욱 속도를 낼 전망이다.
24일 한화큐셀에 따르면 연방 에너지부(DOE) 산하 대출프로그램사무소(LPO)는 지난 19일 한화큐셀에 14억5000만 달러(약 2조1000억 원) 규모의 대출 프로그램을 최종 승인했다. 폴리실리콘 기반 태양광 제조업체가 LPO 대출을 받는 것은 한화큐셀이 처음이다.
한화큐셀은 내년 완공을 목표로, 조지아주에 3조2천억 원을 투자해 잉곳·웨이퍼·셀·모듈을 일괄 생산하는 ‘솔라 허브’를 건설하고 있다. 이번 대출 승인으로 총 투자금 중 약 60%를 낮은 금리로 조달할 수 있게 됐다.
한화큐셀은 지난해 말 달턴 공장 증설을 마무리했고 올해 4월부터 카터스빌 공장에서 모듈 생산을 시작하면서 북미 모듈 생산능력을 연 8.4GW까지 끌어올렸다.
이는 약 130만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에 해당한다. 내년 중순 잉곳·웨이퍼·셀 공장이 완공되어 가동을 시작하면 글로벌 연간 생산능력이 한층 더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방 정부는 한화큐셀의 솔라 허브 건설이 자국 내 태양광 공급망을 회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조지아주 내 태양광 관련 기업들에도 일감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LPO는 이번 건설 프로젝트로 6800여 개 일자리가 추가 창출되고, 약 20억 달러(2조9000억 원) 규모의 경제 활성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LPO는 성명을 통해 “카터스빌 공장이 완공되면 미국 기업들의 ‘리쇼어링(Reshoring)’이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며 “중국과 동남아시아에 집중된 태양광 공급망을 미국으로 돌려 재생에너지 시장의 리더십을 되찾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