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미주한상총연, 왜 다시 ‘황병구’를 택했나?

30대 총회장에 다시 추대…출마 후보 한명도 없어

미주한인상공회의소총연합회(이하 ‘총연’)가 오는 30일(토) 조지아주 둘루스 개스사우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정기총회에서 황병구 전 총회장을 제30대 총회장으로 다시 추대할 예정이다. 이는 선거가 아닌 ‘만장일치 추대’라는 이례적인 방식으로, 그 배경과 의미에 한인 경제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 출마 후보 ‘0명’…재정적 부담과 헌신 요구

총연은 올해 초부터 차기 총회장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하고 회장 후보 접수를 받았지만, 마감일까지 아무도 입후보하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동남부 출신 H씨와 K씨 등 복수의 인물이 관심을 보였지만, 모두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유는 명확하다. 막대한 재정적·시간적 부담과 책임 때문이다.

황병구 전 회장과 이경철 현 회장은 재임 중 수십만달러의 사비를 투입하고 개인 비즈니스를 희생해가며 총연 사업에 전념해왔다. “그 정도 각오 없이 총회장을 맡는 것은 어렵다”는 내부 기류가 형성되며, 결국 아무도 선뜻 나서지 못했다는 게 복수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특히 이경철 회장의 경우 2023년 캘리포니아 애너하임, 2025년 애틀랜타 등 미주에서 연이어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를 개최하는 등 과중한 업무를 처리하느라 거주지인 애틀랜타보다 한국이나 다른 도시에서 보내는 시간이 더 많았을 정도다.

총연의 한 인사는 “세계한상비즈니스대회를 두 차례나 미주에서 유치한 이후 총연의 위상이 크게 올라간 것은 사실이지만, 그만큼 회장직의 무게도 엄청나게 커졌다”며 “현재 상황에서 조직을 안정적으로 이끌 수 있는 인물은 황 전 회장 외에는 없다는 것이 모두의 판단”이라고 밝혔다.

◇ 통합의 리더십과 검증된 성과

황병구 전 회장은 28대 회장 재임 시 혼란 상태였던 총연을 정상화시키며 내부 통합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명예회장과 조직위원장 등을 맡아 미주에서 2차례 열린 세계한상비즈니스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총연의 위상을 미국 내는 물론 전 세계 동포사회에 각인시켰다.

그는 대한민국 정부가 수여하는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상했으며, 최근에는 미디어연대가 수여하는 알바트로스 특별상도 받았다. 이는 그간의 공로를 공적으로도 인정받았다는 의미다.

황 전 회장은 1980년대 이후 40년 넘게 이어져온 총연의 전통을 지키면서도, 스타트업 피칭, 미국 공공조달 포럼, 수출상담회, 1:1 바이어 매칭 등 현대적인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전략을 과감히 도입해 실질적 결과를 만들어낸 리더로 평가받는다.

◇  ‘3無 선거’가 남긴 과제…후계 양성의 필요성

이번 황병구 회장의 재추대는 결과적으로 총연의 안정성을 확보한 결정이지만, 장기적으로는 후계자 양성과 조직 시스템의 제도화라는 과제를 남겼다. 특히, 회장 선출이 반복적으로 ‘무경쟁-무출마-무선거’로 이어지는 현상은 지속 가능성에 빨간불을 켤 수 있다.

총연 내부에서는 향후 차세대 한인 경제인 리더십 프로그램을 통해 회장직의 권한과 책임을 분산하고, 지속 가능한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기자 사진

이상연 기자
이경철 29대 총회장(왼쪽)과 황병구 28대 총회장.

One thought on “[초점] 미주한상총연, 왜 다시 ‘황병구’를 택했나?

  1. Hea Lucy Lee

    - Edit

    이상연기자! 발로뛰는 기사좀낸다해서 이매체를 좋아하는데 이번 황병구기사는 허위정보가 가득넘치네? 우선 만장일치라니? 이경철이 회장선출과정의 직무유기가 먼저이고, 강승구라는인물이 작당한것이고, 미주한인상공회의소 가 위상이높아졌다? 내부 던현직 회원얘길 듣고. 쓴 기사맞나? 아틀란타 에서만 주워들은 얘기의 조합인가,? 이경철의 한이비즈니스 대회 의 자금 회계처리문제가 심각하게 수면아래서 퍼뜩거리고 있으니 좀 현장취재 다시하시길.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