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일하이텍, 조지아 투자 철회…IRA 보조금 종료 여파

한국 기업 투자 위축 우려…조지아 청정에너지 산업 전반에 충격파

한국의 배터리 재활용 전문기업 성일하이텍이 미국 조지아주에 추진하던 3700만달러(약 504억원) 규모의 공장 설립 계획을 최근 전격 철회했다. 지역 매체 ‘글로벌애틀랜타’는 이 같은 소식이 7월 4일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성일하이텍은 조지아주 스티븐스카운티 토코아시 헤이스톤 브래디 산업단지 내 부지에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신설하고 100명 이상을 고용할 계획이었다.

해당 부지는 주정부가 약 70만달러 규모의 보조금으로 조성한 산업단지로, 투자 유치 핵심 지역으로 꼽혔다. 그러나 최근 스티븐스카운티 산업 당국은 “두 필지 모두 다시 매입해 다른 투자자를 찾고 있다”고 밝혔다.

브리타니 아이비 스티븐스카운티 경제개발청 대표는 “성일하이텍은 협력적 파트너였다”며 “유사한 기업을 다시 유치하길 바란다”고 지역 방송을 통해 전했다.

성일하이텍의 철회 결정 배경에는 3일 연방 의회를 통과한 이른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이 자리 잡고 있다. 이 법안은 당초 2032년까지 유지될 예정이던 전기차 보조금(최대 7500달러)을 2025년 9월 30일부로 종료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전기차 가격 경쟁력 약화와 소비 수요 위축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번 결정은 단순히 한 기업의 투자 철회를 넘어, 조지아주가 야심 차게 추진해온 ‘배터리 벨트’ 프로젝트에도 균열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조지아주는 최근 몇 년간 현대차, SK온, 한화큐셀 등 한국 주요 기업들이 수십억 달러 규모의 전기차 및 청정에너지 제조시설 투자를 집중해온 지역이다. 현대차와 SK온은 각각 50억달러, 한화큐셀은 23억달러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연방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보조금과 세액 공제는 이러한 투자 유치의 핵심 동력이었으나, 이번 법 개정으로 그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 실제 노르웨이의 프레이어 배터리(26억달러 규모)와 아스펜 에어로젤 등 유럽 기업들도 최근 조지아 내 공장 설립을 철회하거나 연기한 상태다.

환경단체 클라이밋파워(Climate Power)는 “IRA 이후 조지아주에서만 128억달러 규모의 33개 청정에너지 프로젝트가 발표됐으며, 이 중 상당수는 현재 공사 중이거나 계획 단계에 있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보조금 종료는 약 4만 1700개의 일자리 창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조지아 주정부는 “연방정부 지원 없이도 산업 성장은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현대차를 비롯한 핵심 투자 기업들은 사업계획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전하고 있다.

기자 사진

이승은 기자
성일하이텍 제공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