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흡연자 폐암 증가 원인, ‘대기오염’ 유력

미국 연구팀, 유전자 돌연변이와 연관 확인

전 세계적으로 흡연율이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흡연자에게서 폐암 발병률이 증가하는 현상이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의 연구진이 대기오염이 중요한 원인일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 San Diego)와 국립암연구소(NCI) 공동 연구팀은 세계 28개 지역에 거주하는 비흡연자 871명의 폐암 종양 유전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대기 중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높은 지역에 사는 사람일수록 폐암 종양에 암 유발과 관련된 유전자 돌연변이가 더 많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 같은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하면서, 대기오염이 DNA에 흡연과 유사한 손상을 유발해 폐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오염도가 높은 지역에서 수집된 종양에서는 흡연과 관련된 돌연변이 패턴이 3.9배 더 많았고, 노화와 관련된 돌연변이도 76% 더 많이 나타났다.

또한 연구진은 대기오염뿐 아니라 일부 전통 약재 성분도 폐암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대만 지역의 비흡연자 폐암 환자에게서 중국 전통 의약품인 마두령에 포함된 아리스톨로키아산과 관련된 돌연변이 흔적이 발견된 것이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폐암은 흡연자의 질병이라는 통념을 뒤집으며, 대기오염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비흡연자에게도 폐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사례로 평가된다. 특히 여성, 그 중에서도 아시아계 여성에게 비흡연자 폐암이 많이 발생한다는 사실과도 일치하는 결과다.

연구를 이끈 루드밀 알렉산드로프 교수는 “이번 연구는 비흡연자 폐암의 유전적 기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며 “대기질 개선 정책이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니라 공중보건의 핵심임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에서 간접흡연과 폐암 유전자 돌연변이 간의 강한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돌연변이 발생 정도도 대기오염보다는 훨씬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분석 결과가 향후 폐암 예방과 정책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A의 대기오염이 크게 개선된 모습. /Descartes Labs Twitter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