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SNS 심사 도입 추진…신규 인터뷰 전면 중단 지시
트럼프 행정부가 유학생 비자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면서 전 세계 공관에 비자 인터뷰 일시 중단을 지시해 유학생 사회가 큰 혼란에 빠졌다.
이 조치는 소셜미디어(SNS) 계정에 대한 심사를 의무화하기 위한 준비 절차의 일환으로 알려졌으며, 국내 유학 준비생들과 교환학생 예정자들의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28일 서울 종로구 주한미국대사관은 오전 8시 40분경 학생(F-1), 직업훈련(M-1), 교환방문(J-1) 비자 인터뷰 예약 슬롯을 기습적으로 마감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트럼프 행정부가 유학생 및 교환방문자에 대해 SNS 계정 심사를 강화하고, 이를 위해 신규 인터뷰 일정을 잡지 말라고 각국 공관에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조치는 특히 F·M·J 비자 신청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인턴·연수 등을 준비 중인 일반 기업 직원들까지 피해가 확산될 것으로 우려된다.
미국 유학을 준비 중인 학생들과 유학원, 대학 국제교류 부서 등은 혼란에 빠졌다. 한 유학원 관계자는 “학생 개인이 어떻게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외교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의 한 대학 관계자도 “미국 정부가 비자를 주지 않으면 아무리 교환협정을 맺은 대학이라도 입국 절차에서 막히게 된다”며 상황의 심각성을 전했다.
이미 미국에서 석·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유학생들도 비자 갱신 시기를 앞두고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일부는 비자 인터뷰가 가능한 배우자만 출국하게 돼 사실상 ‘이산가족’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트럼프 행정부의 유학생 정책 강화 기조에 대응해 국내 대학도 유치 전략을 가동 중이다. 고려대는 이날 “미국의 조치로 어려움에 처한 교수·연구원·학생들을 위해 특별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해외 석학 초빙, 숙소 제공, 편입학 지원 등을 통해 학업 연속성을 보장할 방침이다.
한편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일시적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문상일 미국 변호사는 “당장 6월 한 달만 비자 발급이 중단될 수도 있으나, 8월까지 제한된다면 유학생들이 학기를 놓쳐 1년 이상 출국이 어려울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하버드대의 국제학생 프로그램(SEVP) 인증 취소 발표에 이어 이번 비자 인터뷰 중단까지 연이어 강경한 조치를 내놓고 있어, 향후 유학생 정책의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