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체자 단속에 수확인력 부족…농산물 대란 조짐

캘리포니아 등 주요 농업지대 타격…”오렌지가 썩어간다”

미국 주요 농업지대에서 과일과 채소가 제때 수확되지 못한 채 썩어가는 현상이 속출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이민자 단속 강화가 불러온 후폭풍으로, 수확 노동자의 대다수가 불법 체류 외국인인 현실에서 인력 공백이 심각해지고 있는 것이다.

로이터통신은 6월 30일 캘리포니아 벤투라(Ventura)와 커널(Kern) 카운티 등지의 농장에서 대규모 수확 인력 부족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부 농장에서는 300명의 인력이 필요한 작업에 80명만 출근하거나, 80명이 일해야 할 현장에 단 17명만이 출근한 사례도 있었다.

캘리포니아는 미국 전체 과일·견과류 생산량의 75%, 채소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대표 농산물 산지다. 하지만 불법 체류 이민자 단속을 우려해 출근을 기피하는 노동자가 늘면서, 수확되지 못한 농작물들이 밭에서 썩는 실정이다.

벤투라 카운티의 농민 리사 테이트는 “우리 농장의 농작물 70%가 수확되지 못한 채 버려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대부분의 미국인은 이런 노동을 꺼리기 때문에 수많은 농장이 폐업 위기에 처해 있다”고 덧붙였다.

의회예산국(CBO) 전 국장이자 경제학자인 더글라스 홀츠 이킨은 “미국 농업 노동자의 약 80%가 외국인이고, 이 중 절반 이상이 불법 체류자”라며 “이들이 사라지면 식량 공급망은 물론, 소비자 물가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일명 ‘에그플레이션(agflation·농산물 가격 상승에 따른 물가 상승)’ 우려도 현실화되고 있다. 농작물 수확량이 줄어들면 공급이 불안정해지고, 결국 식품 가격이 오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단속 강화는 농업 외에도 호텔과 요식업 등 서비스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 같은 현실을 인정했지만, 정책 변화에 대한 구체적 움직임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 토박이 노동자들은 일반적으로 농업보다는 다른 업종에 종사하기 때문에 이민자들이 떠나도 그 공백을 메우기 어렵다”며, 단순한 불법체류 단속이 아니라 농업 인력 구조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아이오와주의 한 옥수수 농장./자료사진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