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해커들, 애틀랜타 기업서 91만달러 가상화폐 탈취

FBI “위장 취업으로 침투” 수배령… 29개 ‘노트북 농장’도 적발

북한 국적의 해커들이 애틀랜타에 있는 중소 블록체인 기업에서 91만5000달러(약 12억4000만원) 상당의 가상화폐를 탈취한 사실이 드러났다.

연방수사국(FBI)과 법무부는 이 사건을 포함해 29개의 불법 원격 근무 조직인 ‘노트북 농장’을 적발하고, 북한 국적자 4명을 기소했다.

기소된 김광진, 강태복, 정봉주, 장남일 등 4명은 미국 시민의 도용된 신분으로 애틀랜타의 블록체인 기업에 원격으로 취업했다. 이들은 회사의 신뢰를 얻은 뒤 가상화폐 자산 관리 업무를 맡았고, 내부 시스템 접근 권한을 악용해 소스 코드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약 91만5000달러를 빼돌렸다.

또한 이들과 연결된 다른 북한인들도 유사한 방식으로 미국 내 100여 개 기업에 취업했으며, 일부는 포천 500대 기업 및 방산업체에서 AI 관련 업무를 맡기도 했다. FBI는 이번 범죄가 단순 해킹을 넘어서 북한 정권의 외화벌이를 위한 조직적 사이버 침투라고 규정했다.

연방 법무부는 16개 주에서 29곳의 ‘노트북 농장’을 단속해, 사기성 웹사이트 21개와 금융 계좌 29개를 동결했으며, 노트북 200대도 압수했다. 노트북 농장은 위장 고용된 북한 노동자들이 원격으로 접속하는 수단으로, 이들은 VPN을 활용해 자신의 실제 신원과 위치를 숨긴 것으로 조사됐다.

조직 운영에는 미국 시민권자도 가담했다. 브로커로 활동한 젠싱 대니 왕 등은 자택에서 ‘노트북 농장’을 운영하며 북한인들에게 미국 기업 취업을 중개하고, 그 대가로 약 69만6000달러를 수수료로 챙겼다. 이들이 초래한 총 피해는 법률비와 복구비용을 포함해 약 300만달러(약 40억6000만원)에 달한다.

조지아주 북부 연방검찰은 30일 북한 국적자 4명에 대한 기소와 함께 수배령을 내렸으며, FBI는 이들의 체포에 협조할 경우 최대 500만달러의 현상금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FBI 브렛 리더먼 부국장은 “북한 IT 인력들이 미국인을 사칭해 기업에 침투하고 있으며, 이는 북한 정권을 위한 자금조달 활동”이라며 “FBI는 관련 시설을 추적해 제거하고, 자금을 압수하는 등 사이버 불법 행위 근절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 사진

이상연 기자
FBI 수배 포스터에 송금 사기 및 자금세탁 혐의로 기소된 북한 국적자 4명/FBI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