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 중앙일보 1면 ‘부정선거 확실’ 보도 논란

언론 윤리 도마 위에…”프랜차이즈 지사의 독자 보도” 주장

미주 중앙일보 워싱턴DC 지사가 지난 6월 27일 자 신문 1면에 “6·3 한국 대선은 부정선거가 확실하다”는 내용을 담은 기사를 게재해 파문이 일고 있다.

‘국제선거감시단’이라는 민간단체의 일방적인 주장을 별다른 검증 없이 제목과 기사 전면에 실은 데 대해 언론 윤리를 저버린 보도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논란의 기사는 “국제선거감시단(International Election Monitors)”이라는 단체가 미국 워싱턴DC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6월 3일 실시된 한국 대선은 중국의 조직적 개입에 의한 명백한 부정선거”라고 주장한 내용을 다뤘다.

특히 기사 제목과 본문에서 해당 주장을 ‘확실’로 단정적으로 표현해 마치 공식적인 사실인 것처럼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해당 보도 이후 한국 내 탐사보도로 유명한 뉴스타파의 봉지욱 기자는 “조작 사진인 줄 알았는데 실제 보도였다”며 “이른바 국제선거감시단의 실체를 낱낱이 취재하겠다”고 밝혀, 사안의 파장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번 보도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자, 미주 중앙일보 애틀랜타 지사의 이종호 사장은 봉지욱 기자의 페이스북 게시물에 직접 댓글을 남겨 해명에 나섰다.

그는 “미주 중앙일보의 경우 LA와 애틀랜타만 직영 지사이고, 워싱턴DC, 뉴욕, 시카고 등은 프랜차이즈 지사”라며 “이번 보도는 워싱턴DC 지사가 자체적으로 다룬 지역 행사 기사로, 미주 중앙일보 전체의 입장으로 일반화하는 것은 무리”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미국 법률상 프랜차이즈 지사의 잘못에 본사의 책임이 면제되지 않는 만큼 개별 프랜차이즈 지사가 보도했더라도 ‘중앙일보’라는 이름을 공유하는 이상 본사 책임을 회피할 수는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LA 본사와 각 지역 지사가 koreadaily.com이라는 통합 온라인 플랫폼을 공유하고, 기사 노출 구조도 유사하게 운영하고 있음을 근거로 “잘못된 보도에 대해 ‘꼬리 자르기’를 하는 것은 언론사로서 책임 회피”라는 비판도 있다.

특히 이번 보도처럼 한국 정치와 헌정 질서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민감한 사안은 신중한 검증과 균형 잡힌 보도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언론계 안팎에서는 프랜차이즈 지사의 독립성과 본사의 책임 사이의 경계가 모호한 상황에서, 이번 사안이 중앙일보의 미주 지사 운영방식에 대한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또한 언론사 브랜드를 공유하는 구조에서 일부 지사의 부적절한 보도가 전체 미디어의 신뢰를 훼손하는 사례로 기록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중앙일보 본사와 미주 중앙일보 측은 아직 이번 보도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기자 사진

이상연 기자
미주 중앙일보 워싱턴 DC판 6월 27일자/봉지욱 기자 페이스북 캡처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