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 자금 필요시 고이율 예금계좌”…채권도 고려 대상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6일 0.25%포인트 금리 인상을 결정하자 현금을 보유한 투자자들이 앞으로 어떻게 돈을 굴려 나갈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연준 결정에 따라 미국의 기준 금리는 지난 200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5.25∼5.50%로 올라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오는 9월 금리 추가 인상 및 동결 가능성을 모두 열어뒀지만, 투자은행 등 시장에서는 이날 인상이 이번 금리 인상 사이클에서 사실상 마지막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이런 시장의 동향을 전하며 “가장 매력적인 이자를 지불하는 예금계좌나 양도성예금증서(CD)를 찾기가 훨씬 어려워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플로리다주 윈터파크시의 재정고문 샌더 리드는 이 신문에 “우리는 이미 정점을 돌파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WSJ은 돈이 필요한 시점에 따라 투자 전략을 달리 짜야 한다고 조언했다.
예를 들어 올해 주택 계약금 지급 등 비교적 빨리 돈을 쓸 계획이 있다면 고이율의 예금계좌가 접근하기도 쉽고 수익도 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WSJ에 따르면 미국의 현재 예금계좌 이율은 최고 4.5∼5%에서 형성되고 있다.
디파짓어카운트닷컴의 설립자인 켄 터민은 은행 금리는 연준이 금리 인하를 시작하거나 그 직전쯤까지 이 범위대에 머무를 것이라며 “연준은 내년까지 (금리를) 인하할 계획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WSJ은 더 긴 기간에 걸쳐 견고한 금리를 원한다면 CD가 좋은 방법이라며 1년짜리 CD는 5.25% 이상의 수익률을 내고 있다고 말했다.
CD는 은행의 정기예금 중 양도가 가능한 무기명 상품을 말한다.
CD는 일반 예금계좌보다는 높은 이자를 지불하지만, 예금자는 대개 6개월, 1년 등 정해진 기간 현금을 예치해야 한다. 만기에 앞서 돈을 일찍 인출하면 수수료를 내야 한다.
WSJ은 만약 특정 CD 만기를 고르기 어렵다면 ‘CD 래더'(CD ladder) 전략을 고려하라고 조언했다.
이 전략은 전체 투자 금액을 1년, 2년, 3년, 4년, 5년 등 각각 만기가 다른 CD에 나눠 담는 것을 뜻한다.
WSJ은 “이 전략은 만기가 되면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뿐더러 금리 변동에도 대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예금계좌와 CD의 경우 잘 알려진 국영 은행보다는 소규모 은행 또는 온라인 은행에서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런 은행 상품 외에도 국채도 대안으로 제시했다.
WSJ은 “1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의 수익률은 5.3%이고, 2년 및 5년 만기 국채의 수익률도 각각 4.75%와 4%”라며 “이들 국채는 모두 편안하게 인플레이션을 이겨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