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7월 방한 추진

한미 정상회담·방위비 분담 논의될 듯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오는 7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참석 전후로 한국을 방문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방문이 성사될 경우,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루비오 장관의 첫 방한이자, 한미 간 주요 외교 현안이 집중 논의될 계기가 될 전망이다.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루비오 장관은 말레이시아에서 열리는 ARF 외교장관회의(7월 10일 예정)를 계기로 한국과 일본을 모두 방문하는 일정을 조율 중이다. 아직 최종 확정 단계는 아니지만, 한미 양국은 외교 관례에 따라 일정이 확정되면 동시에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26일 기자들과 만나 “ARF 계기로 미국 고위 인사의 방한 가능성이 열려 있다”며, 관련 협의가 진행 중임을 시사했다.

루비오 장관이 방한하게 될 경우, 미국 측의 관세 정책 및 국방비 분담 확대 요구에 대한 메시지가 전달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동맹국들에게 국내총생산(GDP)의 5% 수준까지 국방비 인상을 요구해온 바 있으며, 상호관세 유예 조치 또한 오는 7월 8일 만료를 앞두고 있다.

다만 외교가에선 루비오 장관이 구체적인 ‘청구서’를 들고 오기보다는 원론적 입장 전달 및 입장 조율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는 방위비 증액 요구가 한국만이 아닌 일본, 필리핀 등 전반적인 아시아 안보 전략의 일부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한국 정부로서는 이번 루비오 방한을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 첫 정상회담을 조율할 기회로 활용할 방침이다. 앞서 6월 G7 정상회의와 NATO 정상회의를 계기로 회담을 추진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귀국 및 이 대통령의 불참 등으로 성사되지 못했다.

정부는 오는 9월 유엔 총회 계기를 통한 워싱턴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루비오 장관의 방한이 성사된다면, 미국의 대중국 견제 전략, 첨단기술 협력, 공급망 안정화, 한반도 안보 현안까지 포함한 포괄적 한미 협력 강화 방안이 논의될 가능성도 있다. 동시에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임명되기 전이라면, 루비오 장관은 위성락 실장을 비롯한 고위 인사들과 면담하고, 이재명 대통령을 예방할 수도 있다.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 Facebb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