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 와인 마시면 숙취 심한 이유는?”

포도 껍질 속 ‘케르세틴’이 알코올 대사 방해

레드 와인을 마신 후 다른 술보다 숙취가 심하게 나타나는 이유가 포도 껍질에 들어있는 특정 성분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데일리메일 등은 22일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연구팀이 레드 와인이 심한 숙취를 유발하는 원인을 분석한 결과, 레드 와인에 풍부한 ‘케르세틴(Quercetin)’이 핵심 요인으로 지목됐다고 보도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케르세틴은 포도 껍질에서 발견되는 페놀 화합물로, 알코올을 분해할 때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해독하는 효소(ALDH)의 활동을 억제한다.

이는 독성 화합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체내에 머무는 시간을 길게 만들어 두통 등 숙취 증상을 더 심하게 나타나게 한다는 설명이다. 연구진은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다량 축적될 경우 피부가 달아오르고, 신체가 알코올을 분해하는 대사 과정이 느려져 두통이 동반된다”고 강조했다.

케르세틴 함유량은 포도가 일조량을 얼마나 받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연구진은 “햇빛에 더 많이 노출된 포도는 케르세틴 함유량이 높다”며, 숙취와 두통을 줄이려면 오히려 ‘값싼 레드 와인’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일반적으로 고급 레드 와인일수록 일조량이 풍부한 지역에서 재배한 포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케르세틴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숙취의 원인으로 거론돼 온 아황산염(Sulfites), 바이오제닉 아민(Biogenic amines), 타닌(Tannin) 등의 성분이 레드 와인 숙취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조사했다. 그 결과, 와인 한 잔(약 20㎖)에 함유된 아황산염은 숙취를 유발할 만큼 충분한 양이 아니라고 밝혔다. 바이오제닉 아민과 타닌의 영향 역시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숙취를 일으키는 가장 유력한 원인은 케르세틴이라는 점이 확인됐다”며 “레드 와인을 즐길 때는 이 성분의 함유량이 숙취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 와인바 모습(자료사진)/Author=DimiTal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