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봉’의 전설, 델몬트 푸드 파산신청

‘135년 전통’ 식품기업, 저당 열풍에 통조림 외면

135년 역사의 미국 식품기업 델몬트푸드가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증한 통조림 수요를 대비해 생산을 크게 늘렸지만, 팬데믹 이후 ‘저당·건강식’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판매 부진에 따른 재고 과잉으로 결국 파산 절차에 돌입하게 됐다.

로이터통신은 2일 델몬트푸드가 미 뉴저지 파산법원에 챕터11(Chapter 11·기업회생절차)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이를 통해 회사 매각을 추진한다고 보도했다.

델몬트푸드는 법원 제출 자료에서 회사 자산과 부채 규모를 각각 10억100억 달러 수준으로 밝혔으며, 채권자 수는 약 1만2만5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회사는 회생 절차를 진행하면서도 약 9억1250만 달러의 운영자금을 확보했으며, 이 중 1억6500만 달러는 신규 자금으로 구성됐다고 설명했다.

델몬트푸드는 미국 내에서 과일·채소 통조림과 육수 제품 ‘컬리지인(College Inn)’, RTD 차 음료 ‘조이바(Joyba)’ 등을 판매하고 있으며, 필리핀계 델몬트퍼시픽의 미국 자회사다.

이번 파산 신청은 과잉 재고와 수익성 악화, 구조조정 실패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팬데믹 당시 비축용 식품 수요로 통조림 생산을 확대했으나, 최근 건강식 트렌드로 수요가 급감했고, 지난해 4분기에는 7700만 달러(약 1047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또한 부채 구조조정을 위해 자회사 ‘델몬트푸드2’를 설립하고 기존 7억2500만 달러 대출을 이전했지만, 일부 채권자들이 자산 이전 과정에 반발하면서 소송에 휘말렸다. 이 과정에서 리파이낸싱 비용이 늘어나 연간 이자 부담이 약 400만 달러 증가하고, 전체 부채도 2000만 달러 확대됐다.

델몬트는 작년 케냐 농장에서 발생한 ‘파인애플 도둑 사망’ 사건으로 인권 유린 논란에도 휘말린 바 있다. 개발도상국 노동력 착취 및 아동노동 문제도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그렉 롱스트리트 CEO는 “이번 결정은 회사를 재정적으로 회복시키고 지속 가능한 구조로 전환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라고 밝혔다.

델몬트 따봉 쥬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