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기기 사용, 노년기 인지 저하 위험 낮춰줘”
스마트폰과 컴퓨터 같은 디지털 기기를 자주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노년기의 인지 저하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금까지는 디지털 기기 사용이 뇌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이른바 ‘디지털 치매’ 우려가 제기돼 왔지만, 이번 연구는 그와는 정반대의 결론을 내렸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재러드 벤지 교수와 베일러대 마이클 스컬린 교수 연구팀은 전 세계 성인 41만여 명을 대상으로 한 57편의 관련 연구 논문을 메타분석해, 디지털 기술 사용이 인지 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과를 15일 과학저널 *네이처 인간 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디지털 기기가 오히려 노년기 인지 능력 저하를 늦추는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이는 기존의 ‘디지털 기기 사용 = 뇌 퇴화’라는 고정관념을 뒤엎는 결과”라고 밝혔다.
이번 분석은 50세 이상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컴퓨터, 스마트폰, 인터넷 등 디지털 기기 사용이 인지 기능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추적한 관찰 및 코호트 연구로 구성됐다. 분석 대상자 평균 연령은 68.7세였으며, 연구의 평균 추적 기간은 6.2년이다.
그 결과, 디지털 기술을 자주 사용하는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인지 장애를 겪을 위험이 평균 58%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간 추적한 연구에서는 인지 능력 저하 위험이 약 26%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디지털 기기를 자주 사용하는 행위가 뇌의 인지 보존 행동을 자극하고, 기술적 예비력을 쌓게 해 인지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연구는 인과관계를 직접적으로 증명한 것은 아니며, 기술 사용이 인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입장도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스마트 기기 사용이 생활 전반에 걸쳐 일상화된 현대 사회에서, 특히 고령층에게 ‘디지털은 독(毒)’이라는 오해를 풀고, 오히려 적절한 활용이 건강한 노화를 돕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