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공발 변이와 유사…백신효과 약화 우려
뉴욕에서 백신의 효력을 약화할 수 있는 신종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고 언론들이 보도했다.
24일 뉴욕타임스와 CNN 등에 따르면 컬럼비아대 메디컬센터 연구팀은 이번 주 발표를 앞둔 논문에서 지난해 11월 뉴욕에서 채취한 코로나19 표본에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B.1.526)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해 12월 말부터 이달 중순 사이 이 변이 코로나19의 발견율이 꾸준히 증가했다”면서 “지난 2주 동안에는 12.7%로 급격히 늘었다”고 밝혔다.
컬럼비아대 연구진은 특히 이 변이 코로나19가 남아공발 변이(B.1.351), 브라질발 변이(P.1.)와 유사하다면서 스파이크 단백질에 발생한 E484K 변이가 공통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E484K 변이는 바이러스가 인체의 항체를 더 효과적으로 피하고 일부 백신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발견된 뉴욕의 신종 변이바이러스는 남아프리카공화국발 변이 바이러스와 유사한 특징들을 공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남아공발 코로나19는 전염성과 백신에 대한 저항력이 기존보다 더욱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이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몸속에서 생성되는 중화항체를 더 잘 회피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백신의 효능을 떨어뜨린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낙관적인 전망도 있다.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진화미생물학 전문가인 앤드류 리드는 “이런 것들(변이 바이러스)은 백신에 의한 통제가 좀 덜 되긴 하지만 엄청 날 정도로 (통제가 덜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리드는 “바이러스가 진화할수록 백신에도 수정이 필요할 순 있지만 백신이 아예 없는 것보다는 나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