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3+2학위제’ 도입해 양교 학위 동시 취득
계명대학교(총장 신일희)가 2016년부터 앨라배마주 어번대학교(Auburn University)와 공동 운영해온 ‘3+2학위제’가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는 성공 사례로 자리 잡았다고 밝혔다.
어번대학교는 1856년에 설립된 앨라배마 대표 주립대학으로, 애플(Apple) 최고경영자(CEO)인 팀 쿡(Tim Cook)을 배출한 명문 대학이라고 했다. 계명대 기계공학과는 2012년 어번대와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한 뒤,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3+2 학위제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고 설명했다.
계명대에서 3년, 어번대에서 2년을 수학해 양교 학위를 동시에 취득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학생들은 계명대에서 기초공학 교육을 탄탄히 받았고, 어번대에 가서는 심화 연구와 실무 경험을 쌓았다고 했다.
현재까지 23명의 학생이 이 프로그램으로 파견됐으며, 그 중 5명은 어번대학교 석·박사 과정을 밟고 있고, 18명이 취업에 성공했다고 전했다. 특히 졸업생 중 16명이 미국 내 기업에 근무하며 글로벌 엔지니어로 활약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중 주목받은 인물은 유경진 졸업생이라고 했다. 유경진 씨는 2018년 계명대 기계공학과에서 3+2학위제를 통해 오번대로 진학한 뒤, 석·박사 과정을 거쳐 현재 애플의 배터리 품질 평가 엔지니어(Battery Qualification Engineer)로 근무 중이라고 밝혔다. 유 씨는 “어번대 연구실에서 배터리 충·방전 최적화와 수명 예측 연구를 수행하면서 세계적 기업에 진출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전했다.
계명대 측은 “이처럼 미국 취업 비율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현지 기업에서 한국 출신 공학 인재의 역량을 인정하는 분위기도 확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학위제는 계명대 등록금으로 어번대에서 수학할 수 있어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미국 내 인턴십과 연구원 활동 기회가 열려 있어 학생들이 실질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3+2학위제로 어번대에 진학한 학생들이 점점 늘고 있으며, 앞으로도 글로벌 기업으로의 취업이 꾸준히 이어질 전망이라고 전했다. 계명대는 “향후 이 프로그램을 더욱 발전시키고, 해외 대학과의 협력을 확대해 학생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겠다”고 밝혔다.
한편, 계명대 기계공학과는 1988년에 설립돼 2020년 산업계관점 학과평가에서 우수(A+)를 획득했다고 설명했다. 우수한 교육시스템을 기반으로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동아리 활동을 펼치면서 다채로운 성과를 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상연 대표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