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조지아주에 통상환경조사단 파견

관세 대응해 자동차 산업 생존 전략 마련…현지 부품업계 협력 강화

한국 경기도가 미국 자동차 산업의 핵심 거점이자 현대차 및 기아 공장과 150여 개 한국 부품업체가 진출한 조지아주에 통상환경조사단을 파견한다.

경기도는 5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부과 정책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도내 자동차 산업의 생존 전략 마련을 위해 조사단 파견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오는 10일부터 15일까지 조지아주를 방문해 자동차 부품 업계의 통상 환경을 조사하고, 조지아 주정부 및 관련 기관과 협력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조사단은 문두식 국제통상과장을 단장으로 경기FTA통상진흥센터,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KAICA),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KAP) 등의 전문가 10명으로 구성됐다.

조지아주는 미국 동남부 교통·물류의 중심지로, 미국 전체 물동량 4위인 서배나(Savannah) 항구를 비롯해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운송에 최적화된 인프라를 갖춘 지역이다.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말 조기 가동을 시작한 전기차 공장과 기아차 공장을 중심으로 한국 자동차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조사단 파견을 통해 조지아주 내 한국 자동차 기업들이 통상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현지 자동차 시장 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계기를 만들겠다는 것이 목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와 반도체, 의약품 등에 최소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조지아주 내 한국 자동차 기업들에게 큰 타격이 될 가능성이 크다.

조지아주에 진출한 자동차 부품업체들은 현지 조달망을 확대하는 등 대비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부품 가격 인상, 현지 생산비 증가, 공급망 차질 등의 문제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조지아주에 위치한 현대차·기아차 공장은 북미 시장을 겨냥한 생산 기지로, 관세 인상 시 차량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경기도는 이번 통상환경조사단 파견을 계기로 조지아주와의 자동차 산업 협력을 강화하고, 경기도 내 자동차 부품 기업들을 위한 현지 지원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6월에는 경기도 내 자동차 부품사 10곳을 선정해 미국 현지 컨설팅을 지원할 예정이며, 참가를 원하는 기업은 ‘경기기업비서(www.egbiz.or.kr)’를 통해 4월 4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자동차 부품 기업이 위치한 지역으로,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다”라며 “우리 기업들의 대미 수출이 막히지 않도록 조지아주 정부 및 현지 업계와 긴밀히 협력하며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기자 사진

이상연 기자

경기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