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천마총 금관 선물, 대중문화 풍자소재로 확산
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선물한 신라 천마총 금관 모형이 미국의 주요 방송 3사 토크쇼에서 잇따라 풍자의 대상으로 등장하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금관을 받은 뒤 “기념관에 전시하라”고 지시할 정도로 만족감을 보였지만, 미국 방송가에서는 ‘왕관 욕심’과 ‘자기과시’를 꼬집는 조롱 섞인 반응이 이어졌다.
29일 ABC의 ‘지미 키멀 라이브(Jimmy Kimmel Live)’는 금관 선물을 다루며 트럼프를 직격했다.
지미 키멀은 “한국 정부가 수백만 명이 ‘노킹스(No Kings·왕은 없다)’를 외치는 걸 보고, 왕관이 딱 어울린다고 생각한 것 같다”며
“대통령이란 사람이 이렇게 쉽게 조종당하다니, 정말 창피하다. 마치 아이에게 포켓몬 카드를 쥐여주는 것 같다. 그냥 한국에서 왕이나 해보라”고 비꼬았다.
NBC의 세스 메이어스(Seth Meyers)는 트럼프의 과도한 자기중심성을 풍자했다.
그는 “트럼프는 특별 대우를 좋아하고 아시아에서 정말 즐겁게 지내고 있다”며 “카메라가 꺼지자마자 ‘금관을 써봐도 되냐’고 물었다. 오래된 왕관을 쓰면 죽은 왕의 분노를 살 수도 있는데 말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언약궤를 열면 유령이 나온다는데, 트럼프는 그 유령들마저 내각에 바로 채용했을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의 인사 문제를 꼬집었다.
또 “그는 자국에서도 왕실 대접을 원하지만 받지 못한다”며 “그래서 중국의 권위주의를 진심으로 부러워한다”고 덧붙였다.
CBS의 스티븐 콜베어(Stephen Colbert) 역시 이날 방송에서 “한국이 트럼프에게 유일하게 부족했던 커다란 황금 왕관을 줬다”며 “이제 트럼프는 진짜 왕처럼 됐다”고 풍자했다.
트럼프가 경주 숙소에서 햄버거를 주문하며 케첩을 ‘많이 달라’고 요구한 일화도 언급했다.
콜베어는 “말 그대로 한국인들이 트럼프를 ‘버거킹(Burger King)’으로 만들었다”고 말해 스튜디오가 웃음바다가 됐다.
미국 주요 방송 3사는 모두 민주당 성향으로 분류되며, 평소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과 행동을 풍자의 주요 소재로 삼아왔다.
특히 ‘지미 키멀 라이브’는 트럼프의 압박으로 일시 중단됐다가 1주일 만에 방송을 재개했고, ‘더 레이트 쇼’는 트럼프 정부의 지속적인 압박 속에 2026년 5월 종료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