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2693억원…전기차 배터리는 3천억원 손실
SK이노베이션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사업 환경 악화 여파로 40% 가까이 감소했다. 글로벌 수요 감소 등으로 인한 석유·화학산업의 전반적인 침체로 어려운 한 해를 보냈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1조2693억원으로 전년보다 39.6% 감소했다고 31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9조8765억원으로 8.0% 줄었다. 당기순이익은 658억원으로 96.1% 감소했다.
SK이노베이션 측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한 점에 대해 “주요 제품의 마진 하락에 따라 수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석유·화학산업의 전반적인 침체 속에서도 총 1조2693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점에 대해선 화학·윤활유 사업 등의 포트폴리오가 안정적으로 뒷받침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지난해 석유사업의 경우 매출액 35조8167억원, 영업이익 4503억원을 기록했다. 화학사업은 매출액 9조5425억원, 영업이익 7057억원이었고, 윤활유사업은 매출액 2조8778억원, 영업이익 2939억원, 석유개발사업은 매출액 6687억원, 영업이익 1961억원을 거뒀다.
신규 사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는 배터리사업은 신규 수주에 따른 공장 증설과 연구개발 확대 속에서도 2018년 연간 영업손실(3175억원)보다 소폭 개선된 3091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소재사업은 전년 대비 196억원 증가한 1066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지난해 석유사업의 정제마진 악화와 화학사업의 제품 스프레드 하락 등으로 주력 사업들이 부진했다”며 “하지만 화학사업에서 약 7000억원, 윤활유 사업에서 약 3000억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하는 등 안정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1조원대 영업이익을 거뒀다”고 밝혔다.
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는 122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전년 동기 2855억원의 영업손실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1조7885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5.0% 감소했다. 또 석유개발사업 광구 손상 등 영업 외 손실이 5475억원 발생해, 세전이익은 총 4250억원 적자를 나타냈다.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은 “최악의 경영환경 속에서도 딥체인지를 강력하게 실천해 회사의 사업구조, 재무구조 등 체질이 강해지고 있다”며 “올해는 강해진 체질을 바탕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이 어려움을 새로운 성장의 마중물로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SK이노베이션은 경영 실적이 악화되었음에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배당을 하고 자사주를 매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우선 주당 1400원의 기말 배당을 하기로 했다. 지난해 7월 주당 1600원의 중간배당을 포함하면 연간 배당은 총 3000원이다. 또 오는 5월 초까지 약 5785억원을 들여 발행주식수의 5%에 해당하는 462만8000주의 자기주식을 취득하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