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흥행참패 예고…일본 경제손실 얼마?

코로나 팬데믹 탓 비용 급증…홍보·관광 수익도 난망

“올림픽 회의론 부채질…향후 유치경쟁 사라질 수도”

개회식을 목전에 두고 있음에도 썰렁한 도쿄올림픽 메인스타디움[로이터=연합뉴스]

개회식을 앞두고 썰렁한 도쿄올림픽 메인스타디움[로이터=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대의 첫 올림픽인 2020 도쿄하계올림픽이 23일 개막하는 가운데 경제적 효과에 대해 부정적인 관측이 나오고 있다.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전 세계 스포츠팬들을 끌어모은 역대 올림픽조차 실제 경제 효과 측면에서는 대개 ‘빛 좋은 개살구’였던 만큼, 팬데믹의 그늘이 짙게 드리운 이번 올림픽의 전망은 더욱 밝지 않다.

올림픽이 개최지에 관광·소비증진, 홍보 효과보다는 높은 부채와 인프라 낭비, 부담스러운 유지관리 의무만 남긴다는 경제학자들의 지적은 계속됐으며, 이번 올림픽은 그런 회의론만 부채질할 것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22일 지적했다.

실제로 개막을 목전에 두고도 올림픽 선수촌 지척에 있는 쇼핑몰 내 공식 상품점에는 정적이 흘렀으며 상점 매니저는 예상 매출액의 10%밖에 벌어들이지 못했다고 한탄했다.

텅빈 도쿄올림픽 경기장[연합뉴스 자료사진]

텅빈 도쿄올림픽 경기장[연합뉴스 자료사진]

역대 올림픽이 예산을 초과해 왔다는 것은 거의 정설이다.

한 옥스퍼드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1960년대 이후 역대 올림픽은 평균 172% 초과해 돈을 썼다.

2013년 75억 달러(약 8조6000억원)였던 도쿄올림픽 예산은 2019년 126억 달러(14조5000억원)로 증가했다. 실제 비용은 그 두 배일 것이라는 추산도 있다. 여기에 진단검사·공간 확보 등 코로나19 대응 비용으로 28억 달러(3조2000억원)가 추가됐다.

2017년 현지 당국은 14조엔(146조원) 추가 수요가 발생해 수익이 비용을 상쇄하고도 남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새로운 인프라 구축에 따른 부양 효과, 올림픽 경기장 안팎에서의 소비 증진 등을 포함한 것이나 결국 올림픽이 관중 없이 치러지는 만큼 이런 수익은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예상 수익 상당 부분은 올림픽 폐막 후에 관광객 증가, 교통 등 인프라 사용 등을 계산한 것이지만, 애초에 예상이 부풀려진 데다 코로나19 상황으로 잠식될 것이라고 간사이대의 가쓰히로 미야모토는 분석했다.

호텔 신·증축에 따른 이익을 예상하는 분석도 있지만, 올림픽 개최를 둘러싼 논란으로 일본의 국제적 위상이나 관광객 유치에 역효과가 날 것이라는 부정적 목소리도 있다. 도요타와 같은 후원사들이 개회식을 외면한 것도 이 때문일 수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수년간 올림픽 유치 입찰에 참여하는 도시 수가 줄어든 가운데 도쿄의 이번 경험이 특히 인프라 부양 필요성이 적은 부유한 도시를 중심으로 이런 현상을 가속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올림픽 유치 경쟁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도시가 하나도 없을지도 모른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