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R의 공포’, 트럼프가 불러 왔다

경기침체(Recession) 우려커져…10년물·2년물 금리 역전

트럼프, 중국 등과 무역갈등으로 공포 키워놓고 연준탓만

 

전 세계 금융 시장에 ‘R(Recession·경기침체)의 공포’가 다시 찾아드는 것일까.

우선 그 가늠자가 될 만한 미국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렸다. 14일 뉴욕증시는 폭락했다. 15일 아시아 증시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공포감은 채권시장에서 시작됐다. 장단기 금리가 역전하면서다. 이날 10년만이 미 국채 수익률은 2년물 금리를 웃돌았다. 2년짜리 국채 금리가 10년물 금리보다 높은 상황은 금융위기 이전(2007년 6월)에 경험했다.

장기물 금리가 더 높은 상황이 나타났을 때 대개 1~2년 안에 경기침체 국면이 시작됐다는 학습 효과가 공포감을 키웠다. 이 현상은 당장 단기물에 투자하는 것보다 장기채에 투자했을 때 더 많은 수익을 얻을 것으로 투자자들이 보고 있다는 건데, 돌려 말하면 단기간의 경기는 좋지 못할 것이란 의미가 된다. 이날 심지어 미 국채 30년물 금리는 1.9689%를 기록, 2%를 밑돌며 역대 최저치까지 떨어졌다.

올해를 시작할 당시 경제지표는 양호했다. 지난해 경제 성장률은 3년 만에 최고치인 2.9%를 기록했고 감세 조치에 따라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도 두둑했으며 실업률은 반세기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해 12월 연방준비제도(Fed)는 금리 정상화(인상)를 시도할 수 있었다.

전문가들은 그런데도 상황을 악화시킨 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인 악수(惡手)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관세 폭탄을 퍼부으며 중국과의 무역갈등을 더 팽팽하게 만들었던 것이 부메랑이 돼 돌아오고 있다.

CNN은 여기에 세계 2위와 4위 경제 대국인 중국과 독일이 실망스러운 경제지표를 발표한 것도 부담이 됐다고 설명했다. 독일은 이날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경제 성장률)이 전 분기 대 0.1% 위축됐다고 밝혔다. 마이너스(-) 성장세를 나타낸 것이다. 중국의 산업생산 증가율도 17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과 미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은 독일인지라 2분기 이후 본격적인 불황에 빠질 가능성까지 점쳐졌다.

그런데도 이렇게 정치적 불안을 야기해 시장, 혹은 실물경기까지 위험에 빠뜨리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에 모든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뉴욕증시가 폭락한 이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해 “아주 멍청하다”고 비난했다. 자신이 주도하고 있는 미중 무역전쟁이 근본적인 이유인 것을 모르는 척하고 연준에 “금리를 내려라”고만 지시하고 있는 것. 트럼프 대통령은 틈날 때마다 “문제는 중국이 아니고 우리의 연준이 너무 많이 빠르게 (금리를) 올렸고 이제는 너무 느리게 내리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서 이날 미 국채 10년물 금리와 2년물 금리가 역전한 것을 두고선 “미친 수익률 곡선”이라고 했다. 제대로 된 분석이 아니라 자신의 잘못의 책임을 돌리기 위한 감정적인 언사에 지나지 않는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정책국장도 “이는 기본적으로 연준의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파월이 의장직을 맡았을 때 금리(인하)를 너무 억제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발생했다”고 비난했다.

“멍청하다”는 소리까지 들은 연준은 어쩔 수 없이 금리를 더 내려야 할 상황이다. 시장에서 금리선물을 분석하면 연준이 9월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할 가능성은 81%에 달한다.

그러나 이것이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CNN에 따르면 분석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추가 관세를 일부 연기하기로 한 결정 역시 너무 늦었을 수도 있다고 본다. 무역전쟁으로 인한 피해는 이미 미국 경제 등에 퍼졌고 일부 유예하는 수를 쓰더라도 상황은 되돌리기 어렵단 얘기다.

투자은행 스티펠의 린지 피그자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부과를 앞두고 경기가 확실히 둔화하고 있었다”면서 “세계 무역전쟁은 그 약세를 악화시켰을 뿐”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니까 트럼프 대통령이 전자제품 등 일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연기하기로 한 것에 월가가 안도의 한숨을 쉰 것이 불과 하루밖에 효과가 없었던 것도 이해가 된다. 깊어진 무역전쟁이 경제에 가져온 골은 부정할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