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 광복절 축사서 일본에 유화 메시지

“안보 협력 지속”…지소미아 파기 철회 시사

내주 한일 외교일정 염두…국면전환 분수령

 

한일 갈등이 계속 격화되고 있던 상황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절제된 대일(對日) 메시지를 통해 사실상 유화 메시지를 발신했다.

한일 외교차관 회담 등 외교일정을 앞두고 강대강 대치 국면에서 대화 협력 국면으로의 전환을 통해 출구전략을 모색하고 있음이 엿보인다는 평가다.

문 대통령은 이날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광복절 74주년 기념식에서 “침략과 분쟁의 시간이 없지 않았지만, 동아시아에는 이보다 훨씬 긴 교류와 교역의 역사가 있다”면서 “일본이 이웃나라에게 불행을 주었던 과거를 성찰하는 가운데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함께 이끌어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일본에 역사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면서도 협력에 더 방점을 찍어 대일메시지에 톤다운을 시도한 것이 눈에 띈다.

문 대통령은 “일본의 부당한 수출규제에 맞서 우리는 책임 있는 경제강국을 향한 길을 뚜벅뚜벅 걸어갈 것”이라면서도 “지금이라도 일본이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우리는 기꺼이 손을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과거에 머물지 않고 일본과 안보·경제협력을 지속해 왔다”며 “공정하게 교역하고 협력하는 동아시아를 함께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원덕 국민대 국제학부 교수는 “강대강으로 부딪히던 이전의 화법 보다 훨씬 더 순화된 언어를 구사했다”며 “한일간 예정된 외교 일정을 염두에 두고 대결 대립 구도에서 대화 협력으로의 국면 전환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이 ‘한일 안보협력’을 언급한 것도 우리가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등 경제보복 조치의 대응카드로 검토를 공식화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GSOMIA·지소미아) 파기’의 철회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2020년 도쿄올림픽을 언급하며 “세계인들이 평창에서 평화의 한반도를 보았듯이 도쿄 올림픽에서 우호와 협력의 희망을 갖게 되길 바란다”고 강조한 것도 최근 도쿄올림픽 보이콧 논란을 염두에 둔 유화 메시지로 풀이된다.

그간 대일 강경 자세를 이어온 문 대통령의 이러한 태도 변화는 광복절 이후 제3국에서 개최하는 것으로 양국이 물밑에서 협의해왔던 한일 외교차관 회담과 다음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한중일 외교장관 회담 계기 한일 양자회담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그간 양국은 광복절 직후 외교차관 회담을 여는 것을 추진중이었으나 이에 대한 언론 보도가 나온 뒤 끝내 취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아사히신문은 한일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양국이 16~17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외교차관 회담을 개최하는 것을 조율중이나 문 대통령의 광복절 메시지 등의 수위에 따라 연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후 우리 외교부는 한일 외교차관 회담 개최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 일본은 회담을 취소하면서 별다른 이유를 설명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대일 비난은 자제하고 유화 메시지를 발신함에 따라 양국이 또 한번 조만간 물밑에서 대화 모멘텀을 모색할 가능성에 시선이 모아진다. 한일 외교당국은 21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한중일 3국 외교장관 회담 계기 양자 외교장관 회담을 조율중인 것으로 알려져 다음주가 지소미아 파기 시한 직전 국면 전환 여부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날 일본측에서는 한국과 관련 별다른 유화 메시지는 나오지 않았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이날 도쿄에서 열린 태평양전쟁 종전(패전) 74주년 기념식 연설에서 “이전 대전에서 300만여 명의 동포가 목숨을 잃었다”며 자국의 희생만 언급한 채, ‘반성’이나 침략전쟁 ‘가해자’로서의 책임을 시사하는 언급은 일체 하지 않았다. 또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에도 예년과 같이 공물을 봉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