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0.wp.com/atlantak.com/wp-content/uploads/2025/01/GNC%EC%A2%8B%EC%9D%80%EC%9D%B4%EC%9B%83GOOD_FINAL.gif?w=730&ssl=1)
1기 집권시에도 탈퇴 위협…”보건 국제협력 심각한 저해”
2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세계보건기구(WHO) 탈퇴를 다시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제 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WHO는 전 세계 보건 문제 해결과 질병 대응에 있어 중추적인 조직으로, 이를 둘러싼 미국의 움직임은 전 지구적 보건 대응 능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는 과거 재임 시절에도 WHO의 코로나19 사태 대응을 비판하며 미국의 탈퇴를 추진한 바 있다. 그의 재임 중 이러한 방침은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철회되었으나, 현재 다시 한번 탈퇴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은 정치권과 학계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WHO와의 관계 단절은 미국의 세계적 보건 리더십 약화뿐만 아니라, 국제 협력 기반의 보건 문제 해결 능력에도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WHO 탈퇴가 실행된다면, 특히 개발 도상국이나 보건 자원이 열악한 국가에 대한 지원이 약화되면서 이들 국가의 질병 대응 능력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와 같은 시나리오에서는 글로벌 공통 문제로 떠오른 감염병 위기의 심화, 그리고 지구촌 건강 보장에 있어 심대한 취약성이 대두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WHO에 대한 미국의 재정 지원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미국이 자금 지원을 중단한다면 WHO의 활동과 연구, 백신 배포 등 다각적인 활동이 지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해 유럽연합(EU)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은 미국의 WHO 탈퇴 시도를 경계하며 협력을 통한 국제 보건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https://i0.wp.com/atlantak.com/wp-content/uploads/2020/09/PCM20200519000073990_P4.jpg?resize=730%2C383&ssl=1)
![](https://i0.wp.com/atlantak.com/wp-content/uploads/2024/12/riley.jpg?w=730&ssl=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