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와는 더 높은 주파수 휘파람 소통…언어 가르치고 관심 끌기에 도움”

인간이 아기에게 말을 걸 때 비음 섞인 높은 톤을 사용하는 건 흔한 일이다. 지능 높은 동물인 돌고래도 어린 개체와 소통할 때는 이와 같은 ‘아기 말투’를 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7일 가디언 등에 따르면 미국 햄프셔 칼리지,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대학 등 소속 연구팀은 전날 이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1984∼2018년 플로리다주 새러소타만 인근에 사는 어미 큰돌고래 19마리를 추적 관찰했다.
돌고래는 개체마다 고유의 휘파람 소리를 내면서 이를 통해 의사소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이들 큰돌고래가 새끼와 있을 때, 성체와 있을 때, 혼자 있을 때 등 각 상황에 따라 어떤 휘파람 소리를 내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어미 큰돌고래는 새끼와 소통할 때 평소보다 더 높은 주파수의 휘파람 소리를 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휘파람 음역도 다른 상황과 비교해 더 넓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세인트앤드루스대학 소속 생물학자 피터 타이악은 “연구 대상이었던 어미 (큰돌고래) 19마리 모두가 이런 현상을 보였다”고 말했다.
큰돌고래가 새끼에게 이 같은 ‘아기 말투’를 쓰는 이유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처럼 높은 톤의 휘파람 소리가 새끼가 새로운 소리를 발음하는 법을 더 쉽게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새끼의 관심을 끄는 데도 음높이가 높은 소리가 더 효과적이라고 한다. 이는 인간 영유아에게도 적용되는 사항이다.
큰돌고래 외 암컷 붉은털원숭이 등 동물도 새끼에게 이와 같은 ‘아기 말투’를 사용한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연구팀은 “돌고래는 발성 학습과 언어 진화 연구에 있어 훌륭한 동물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