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규정한 ‘건강한 식품’은?











FDA, ‘건강한 식품’ 정의 개정… 설탕·나트륨 제한 강화

FDA, 30년 만에 정의 개정…설탕·나트륨 제한 강화

연방 식품의약국(FDA)이 30년 만에 ‘건강한’ 식품의 정의를 개정했다. 이번 변화는 소비자들이 식품 라벨을 더 잘 이해하고, 만성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도록 돕기 위한 조치로 시행된다.

새로운 기준, 무엇이 달라졌나?

FDA의 새로운 규정에 따르면, ‘건강한(Healthy)’ 표시를 하려면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 식품군 포함: 과일, 채소, 곡물, 유제품, 단백질 등 주요 식품군에서 특정 양 이상의 영양소를 포함해야 한다.
  • 첨가당 제한: 최초로 첨가당의 양에 제한을 두었다.
  • 나트륨 및 포화지방 제한: 제품 유형에 따라 나트륨과 포화지방 함량 제한을 설정했다.

이에 따라, 설탕이 많은 시리얼, 가당 요구르트, 흰빵, 일부 그래놀라 바는 더 이상 ‘건강한’ 라벨을 사용할 수 없다. 반면, 아보카도, 올리브오일, 연어, 달걀, 일부 트레일 믹스는 ‘건강한’ 식품으로 인정된다. 물도 이제 ‘건강한’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식품 제조사 2028년 2월까지 적용해야

  • 발효 시점: 새 규정은 2개월 이내에 시행되며, 식품 제조업체는 2028년 2월까지 준수해야 한다.
  • 라벨 개발 중: 특정 식품을 ‘건강한’으로 지정하는 라벨은 아직 개발 중이다.

기존 규정 하에서는 약 15%의 제품이 ‘건강한’ 기준에 부합했지만, 실제로 ‘건강한’ 라벨을 표시한 제품은 5%에 불과했다.

산업계와 전문가의 반응

  • 전문가 의견: 터프츠대학 Food is Medicine Institute다리우쉬 모자파리안 박사는 이번 개정을 “오래된 가이던스를 시급히 개선한 조치”로 평가했다.
  • 식품 산업의 우려: Consumer Brands Association은 이번 규정이 “포장 식품을 배제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며, “명확한 과학적 증거에 기반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공중 보건 향상 목표

FDA는 새 기준이 심장병, 당뇨병 등 만성질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 미국인의 채소, 과일, 유제품 섭취 부족:
    • 75% 이상이 채소, 과일, 유제품 섭취량이 부족.
  • 첨가당, 나트륨, 포화지방 초과 섭취:
    • 80%가 포화지방 권장량 초과.
    • 60% 이상이 첨가당 초과.
    • 90%가 나트륨 초과 섭취.

이승은 기자

연방 식품의약국(F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