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아메리칸옹호펀드, 17일 애틀랜타한인회관서 타운홀 개최
통과되면 향후 30년 간 판매세 1% 인상…버스노선 확대 등 추진
아시아계 시민단체인 ‘아시안아메리칸옹호펀드(AAAF)’가 지난 17일 노크로스 애틀랜타한인회관에서 귀넷카운티 대중교통 확장을 위한 주민투표 참여를 위한 타운홀 미팅을 개최했다.
귀넷카운티는 오는 11월 5일 선거에서 대중교통 확장을 위해 카운티 판매세를 향후 30년간 1%p 인상하는 주민투표를 함께 실시하게 된다. 귀넷카운티는 대중교통 확장을 위한 주민투표를 여러 차례 실시했지만 모두 부결됐었다.
아이샤 유쿱 AAAF 사무총장은 “오늘 행사는 귀넷카운티의 대중교통이 우리의 일상을 어떻게 혁신하고, 나아가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만들 수 있는지 배우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내달 5일 주민투표에 참가해 꼭 찬성표를 던져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행사는 ‘자동차 없이 애틀랜타에서 살기’라는 소셜미디어 콘텐츠로 유명한 인플루언서 모나 수 등의 ‘스토리 텔링’과 지역 전문가들의 패널 토론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이번 주민투표가 통과되면 귀넷카운티는 판매세 인상을 통해 총 124억 달러를 조성하게 되며 이 자금의 대부분은 버스를 운영하는 카운티 대중교통 서비스인 라이드 귀넷(Ride Gwinnett)의 확장에 사용될 예정이다.
카운티는 “판매세 수입과 더불어 36억 달러의 연방 보조금과 14억 달러의 대중교통 요금 수익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카운티는 이 자금으로 26마일에 달하는 버스 급행 노선(BRT)과 115마일에 달하는 8개의 주요 간선 급행 노선을 추가할 계획이다.
BRT 노선은 전용 차선과 교통 신호에서 우선 통행할 수 있는 짧은 ‘큐 점프’ 차선을 혼합해 운영되며, 버스는 10분에서 15분 간격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이 노선은 도라빌 MARTA역에서부터 로렌스빌의 교통 허브까지 이어진다. 주요 간선 급행 노선도 교통 신호 우선권과 큐 점프 차선을 이용하지만 전용 차선은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3개의 존에서 운영 중인 라이드 귀넷의 마이크로 트랜짓 서비스도 확대된다. 현재 이 서비스는 해당 구역 내에서 한 방향 당 3달러로 ‘문 앞에서 문 앞까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민투표가 통과되면 10년 내에 27개의 마이크로 트랜짓 존을 도입해 카운티 전역을 커버할 예정이다.
기존 버스 노선도 재구성해 전반적인 운행 범위를 확대하고, 운행 시간을 연장해 처음으로 일요일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총 18개의 버스 노선이 운영되며, 버스는 15분에서 30분 간격으로 도착하게 된다. 또한 지역 정류소를 업그레이드하고 자전거 및 보행자 접근성을 개선할 계획이다.
귀넷 플레이스 몰 근처에는 이미 대형 환승 시설이 건설 중이며, 로렌스빌에도 또 하나의 대형 환승 시설이 건설될 예정이다. 또한 카운티 전역에 소규모 및 중규모 환승 시설도 건설된다. 소규모 시설에는 버스 쉘터, 실시간 상황판, 보안 카메라, 조명 및 벤치가 설치되며, 중규모 시설에는 버스 루프, 화장실 및 파트타임 보안 직원이 추가될 예정이다.
카운티는 하츠필드-잭슨 국제공항으로 가는 두 개의 노선도 운영할 예정이다. 해당 노선은 귀넷 북부의 I-985 주차장과 남부 스넬빌에서 출발하게 된다.
이상연 대표기자




